태양전지 원리
Document URL : http://61.252.19.129/xe/86302태양전지 자동차를 만들려면 태양전지 를 알아야 합니다.
태양전지의 원리는 무엇이가를 알아봅시다.
먼저 물질의 원자는 태양빛을 받으면 +와 - 의 전하가 생기는데
+ - 전하가 중성일때는 아무런 반응이 없는데 어떤 조건을 주어 정공이라는 구멍으로
빠져나오게 하는것이 태양전지의 원리 입니다.
이후에 + 는 모두 + 로 연결해 모우고 - 는 또 - 대로 연결해 모아 전선을 연결해
우리가 사용하는것이라 간단하게 생각 하면 됩니다.
+ 와 - 의 전자는 몇개의 층을 이루고 있는데 전자가 조금있는 전도대가 있고
전자가 제로인 중간층인 제로대가 있구요 전자가 아주 많이 모여 있는 충만대가 있습니다.
꼭 태양전지 판에서만 이런 현상이 일어 난다고 생각 하지 마세요 .
철이나 알루미늄 구리판 .등등 여러 물질에서도 전기가 발생하는데
실리콘에서 전기 생산량이 좋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 하기 때문에 많이 보급 된것 입니다.
실리콘 태양전지 의 원리는
반도체에 햇빛이 닿으면 긴파장의 빛은 투과해 버리고 파장이 한계파장보다
짧으면 흡수 되는데 빛의 파장이 한계 파장보다 짮으면 반도체의 충만대에
전자 에너지를 이동시켜 전도가 일어나게 한다고 보면 됩니다.
반도체에는 전자 (마이너스의 전하)를 끌어 당기는 n 형 반도체와
양공(플러스의 전하)를 끌어 당기는 p형의 반도체 두종류가 있는데
태양전지는 이두개의 판을 접합 한것으로 보면 됩니다.
반도체 안에 마이너스 전하는 n형 반도체로 가고
플러스 전하는 p형 반도체로 모인다음 선으로 흐르는겁니다.
쉽게 말하면
햇빛이 반도체에 닿으면 p.n접합을 한 반도체에 빛과 물체의 상호 작용에 의해
+ 와 - 가 생겨 이 전하를 끌어내 전류가 흐르고 그 에너지로 모터나 전등을 키게 되는것입니다.
태양전지판은 꼭 태양빛만 전기로 바꾸는게 아니고 백열전등의 빛이나 형광등의 빛 등
아무런 빛만 있으면 전기로 바꿀수 있습니다.
태양전지는 여러가지 장점이 많지만
제일 큰 단점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 능력이 없다는것으로 축전을 하기위해
밧테리를 써야 전기를 저장 해 쓸수 있다는것 입니다.
- Tagged :
- 태양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