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 관련정보
Document URL : http://61.252.19.129/xe/124376

◇ C A S No. 에 대하여
미국화학회의 Chemical Abstracts Service (CAS)가 화학문헌 등에 기재 된 화학물질에 부여한 번호. CAS Registry Number의 약자

◇ 「UN번호」 란?
국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하의 위험물수송전문가위원회 에서 설정된 권고 중에서 정해진 위험물질마다 부여된 4자리 숫자이다.
◇ 『IMDG 코드』란?
소개
제2차 세계대전 후 화학공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화학제품의 해상수송량 또한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위험물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위험물 선박운송에 관한 국제적 통일 기준의 제정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마침내 1960년에 열린 SOLAS 회의에서 위험물 선박운송관계를 SOLAS 협약 제7장(위험물의운송)에 명문화시키게 되었다.
이후, SOLAS 협약에 의해 위험물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규칙을 제정토록 권고받은 국제해사기구(IMO)는 1956년에 완성된 UN권고(UN Recommandations- UN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위험물운송전문가위원회가 완성한 위험물의 적용, 분류, 품목, 표시 및 운송서류 등에 관한 보고서)를 기초로 해서 위험물 해상운송의 안전기준에 대한 상세한 규정을 개발하였고, 마침내 1965년 화학류에 대한 규정을 마지막으로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이 제정되었다.
적용
IMDG Code는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관한 국제규칙으로서 1965년 제정된 이래로 현재 전 세계 선복량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55개국에서 국내법으로 수용하고 있다.
주요현황
IMDG Code는 1965년에 제정된 이후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산업의 요구에 발맞추고 모든 운송형태에 대한 기본적 요건을 결정하는 "UN권고" 와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외양이나 내용 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1998년까지 무려 29차례나 개정됨으로써 잦은 개정으로 인한 각 정부 및 산업계의 불만이 고조되었는데, 특히 1989년에 대폭적인 개정(제25차 개정)으로 전 4권의 약 3천쪽이나 되는 IMDG Code를 발간하고 나서 4년 뒤 1993년에 "UN권고"와의 조화 및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Ⅲ의 발효에 따른 포장오염물질 수용 등의 이유로 다시 한 번 큰 폭으로 개정(제27차 개정)을 함에 따라 개정주기 및 Code집 분량에 대한 개선이 강력히 요청되었다.
이에, 미국이 1994년 1월에 개최된 제45차 위험물운송소위원회(CDG 45)에서 기존의 IMDG Code를 새롭게 해, 두 권의 타블로이드板(A4 사이즈)으로 편집함으로써 실용성과 간결성을 도모하자고 제시하였고, 이는 2년 주기의 개정뿐만 아니라 복잡하게 엉켜있는 제반문제를 상당히 해소하여 줄 것이라고 판단됨에 따라 2000년 제30차 개정판은 새로운 형태의 IMDG Code로 완성토록 결정하였다.
주요내용
위험물의 적용, 분류, 표시 및 표찰의 규격 및 표기방법 규정
위험물의 포장 및 용기의 종류와 규격기준 규정
위험물의 선적시 구비서류 및 위험물에 대한 기준자료의 선내비치에 관한 사항을 규정
컨테이너에 의한 위험물의 운송에 관한 사항 규정
위험물의 선적조건, 상호간의 격리 및 화재예방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위험물을 그 성질 및 특성에 맞춰 세부적으로 분리 후, 해당 위험물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규정
비상시 취해야 할 조치 및 응급조치 등에 관해 기술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 의 약자로, 해상수송상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제해사기관 (IMO)에서 규정한 국제통일규약 이다. 해상수송상의 문제가 되는 위험성물질을 UN권고에 따라 9개의 클래스로 분류하여, 개개의 물질에 대해 성질, 용기, 포장, 최대량, 주의사항, 적재방법, 라벨 등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위험물의 분류, 정의, 품명, 라벨, 선적서의 양식 등은 모두 UN권고의 것을 채용하고 있다.
◇ 『ICAO / IATA규칙』 이란?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 국제항공운송협회 의 약자) / 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 국제민간항공기관 의 약자). 항공운송상의 문제가 되는 위험성물질을 UN권고에 따라 9개의 클래스로 분류하여 정의, 품명, UN번호, 클래스, 부차위험, 라벨, 등급, 여객기 및 여객기 이외의 항공기의 포장, 적재방법 등이 규정되어 있다.
◇ 『해양오염물질 또는 환경유해물질』 이란?
용기에 수납하여 개품수송 되는 해양오염물질의 선박수송은 해양오염방지법 시행규칙 제37조의9 에 따라, 용기포장의 강도, 물에 대한 성질의 규칙, 및 해양오염물질의 표찰의 첨부 등의 의무가 주어진다.
1. 위험물의 정의
일반적으로 위험물(Dangerous Goods)이라 함은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성질상 그 물질 자체의 특성 혹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물질이 접촉 또는 특별한 상황 하에서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폭발, 인화, 유독, 부식, 방사성, 질식, 발화, 전염, 중합, 동상, 분진폭발 또는 반응 등을 초래하여 건강, 안전, 재산 또는 환경에 위험을 야기시키는 물질 또는 제품을 말한다.
해상운송 측면에서의 위험화물(Dangerous Cargoes)이라 함은 포장된 것이던 산적 포장용기로 운송된 것이던 또는 산적상대이던 간에 다음에 열거하는 규정의 범위내의 화물을 말한다 :
▣ MARPOL 73/78 부속서 Ⅰ에 따른 기름 ;
▣ 국제액화가스운송선의구조및설비기준 (IGC Code)에 규정된 가스류 ;
▣ 국제산적위험화학품운송선의구조및설비기준 (IBC Code)과 MARPOL 73/78 부속서 Ⅱ에 규정된 폐기물을 포함한 유해액체물질 / 화학품
▣ 국제해상위험물규책 (IMDG Code)에 규정된 환경유해물질 (해양오염물질) 및 폐기물을 포함한 위험하고 유해한 물질, 재료 및 제품 ;
▣ 산적고체화물안전실무기준 (BC Code) 부록 B에 규정된 폐기물을 포함한 화학적 위험을 수반하는 산적고체물질 및 단지 산적상태에서만 위험한 고체물질 (MGBs)
한편 IMDG Code의 목적상, 위험물(Dangerous Goods)이라 함은 IMDG Code의 규정을 적용 받는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SOLAS 제7장 A편 제1규칙).
또한 위험물이라는 용어에는 이전의 화물을 담았던 세정되지 아니한 빈 포장용기 (탱크 컨테이너, 소형용기, 중형산적용기, 대형용기, 산적용기, 이동식 탱크 또는 탱크차량)도 포함된다. 단, 모든 위험성을 제거하거나 비위험화물을 채우거나 위험물의 잔류물을 깨끗이 청소하고 증기를 제거시킨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2. 위험물 운송 국제규칙
2.1 위험물의 해상운송 형태
일반적으로 위험물은 선박에 구조적으로 설비된 탱크, 화물창 또는 탱크 등으로 산적상태(IN BULK)로 운송되거나, 드럼, 캔, 포대, 상자, 배럴, 중형산적용기, 대형용기 또는 이동식 탱크 등으로 포장된 형태(packaged form)로 운송된다.
산적상태의 위험물은 특정 목적을 위하여 건조된 탱커, 액화가스 운반선, 산적 운반선 등으로 운송되며, 산적상태의 소량 위험물은 일반 화물선 또는 컨테이너 전용선 등으로 운송한다. 한편 포장된 형태의 위험물은 일반 화물선, 로-로선(RO/RO), 컨테이너 전용선, 바-지선, 컨테이너-벌크 겸용선 또는 준컨테이너 전용선 등으로 운송된다.
2.2 운송수단별 국제규칙
운송수단별 위험물 운송관련 국제규칙과 그 관리기구는 다음과 같다. 이 규칙들은 국제해사기구(IMO)의 UN권고(Recommendations on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 일명 Orange Book)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UN권고 | ||||||||||||||
UN ECOSOC | |||||||||||||||
| | | | | | | | | | | | ||||
| | | | | |||||||||||
해상 | 항공 | 철도 | 도로 | 내수로 | |||||||||||
IMDG CODE | TI | RID | ADR | AND | |||||||||||
IMO | ICAO | OCTI | ECE | ECE | |||||||||||
운송수단 | 국제기구 | 규칙 |
해상 | 국제해사기구 (IMO) | 국제해상위험물규칙 (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 | ||
항공 | 국제민간항공기구 | 위험물항공운송기술지침 (TI) |
Technical Instructions for the Saf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by Air | ||
철도 | 국제철도연맹 | 국제위험물철도운송규칙 (RID) |
Regulations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Dangerous Goods by Rail | ||
도로 | 유럽경제위원회 | 국제위험물도로운송규칙 |
European Agreement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 ||
Dangerous Goods by Road | ||
내수로 | 유럽경제위원회 | 국제위험물내수로운송규칙 (ADR) |
European Agreement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Carriage of | ||
Dangerous Goods by Inland Waterway |
포장된 형태의 위험물을 해상운송하기 위해서는 위험물선박운송및저장규칙(한국) 또는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O)에서 정하는 운송요건과 엄격하게 일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송인 또는 화주는 위험물을 정확하게 분류하여야 하고, 해당 위험물에 가장 적합한 포장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적절한 표시, 표찰 및 명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선박에서도 적절하게 격리, 적재 및 고박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모든 위험물 운송관련 종사자는 친숙화 교육, 특정기는 훈련 및 안전훈련을 받아야 하며, 위험물과 관련된 사고시의 비상조치법 및 의료응급처치법을 숙지하여야 한다. 하송인(또는 화주) 및 선박 소유자 또는 선장은 위험물과 관련된 선적서류(컨테이너 수납검사증, 위험물 신고서 등)를 준비하여야 하며, 이를 반드시 1년 이상 사무실 또는 선상에 보관하여야 한다.
3. 위험물의 분류
IMDC CODE에는 위험물의 여러 급(CLASS)이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급들은 그 특성 및 성질에 따라 여러 급수 또는 등급으로 세분되어 있다. 또한 해양오염물질의 선정기준에 따라 다양한 급에 속하는 다수의 위험물이 해양환경에 유해한 물질(해양오염물질)로도 확인되어 있다.
▣ 위험물의 분류는 화주/하송인 또는 해당 주무관청의 책임하에 행하여야 함.
▣ 급(CLASS) 또는 등급(DIVISION)의 수치적 순서는 위험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
3.1 제1급 (CLASS 1) – 화약류 (Explosives)
화약류라 함은 폭발성 물질, 폭발성 제품 및 폭발효과나 화공효과를 발생시킬 목적으로 제조된 기타의 물질 및 제품을 말한다.. 제1급은 그 위험도에 따라 다음의 6가지 등급(Division)으로 구분한다 ;
등급 | 정의 |
등급 1.1 | 대폭발 위험성이 있는 물질 및 제품 |
등급 1.2 | 발사 위험성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
등급 1.3 | 화재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약간의 폭발 위험성 또는 약간의 발사 위험성 |
혹은 그 양쪽 모두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 |
등급 1.4 | 중대한 위험성이 없는 물질 및 제품 |
등급 1.5 | 대폭발 위험성이 있는 매우 둔감한 물질 |
등급 1.6 | 대폭발 위험성이 업는 매우 둔감한 물질 |
▣ 대폭발(Mass Explosive) 이란 장약 전체가 사실상 순간적으로 폭발하는 것을 말함
3.2 제2급 (Class2) – 가스류 (Gases)
제2급은 압축가스, 액화가스, 용해가스, 냉동 액화가스, 혼합가스, 가스가 충전된 제품 및 에어로졸로 구성된다.
가스는 다음의 물질을 말한다;
1) 압축가스(compressed gas)-운송용으로 가압하에 포장된 경우, (-)50'C에서 완전히 기체인 가스
이 압축가스에는 임계온도가 (-)50'C 이하인 모든 가스가 포함된다;
2) 액화가스(liquefied gas) - 운송용으로 포장된 경우, (-)50'C에서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이것은 다음과 같이 구별한다:
- 고압 액화가스(high pressure liquefied gas) : 임계온도가 (-)50'C와(+)65'C 사이인 가스, 및
- 저압 액화가스(low pressure liquefied gas) : 임계온도가 (+)65'C를 초과하는 가스
3) 냉동액화가스(refrigerated liquefied gas) - 운송용으로 포장된 경우, 자체의 저온 때문에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4) 용해가스(gas in solution) - 운송용으로 가압하에 포장된 경우, 액상의 용제에 용해된 가스.
제2급은 가스의 주위험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
등급 | 정의 |
제2.1급 – 인화성고압가스 | 20 C 및 101.3kPa에서 가스인 것 |
제2.2급 – 비인화성, 비독성 가스 | 20 C에서 280kPa 이상의 압력으로 운송되는 가스, 또는 냉동액체로 운송되는 가스, 또는 질식성 가스, 산화성 가스 또는 다른 급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가스 |
제2.3급 – 독성가스 | 독성 (LC50 : 5,000ml/m2 이하) 및 부식성이 있는 가스 |
▣ 가스(Gas)란 50 C에서 300kPa 이상의 증기압을 갖는 물질 또는 20 C, 101.3kPa에서 완전히 기체인물질을 말함.
3.3 제3급 (Class3) – 인화성 액체류 (Flammable Liquids) 제3급은 인화성 액체 및 감감화된 액체 화약류를 말한다.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s)라 함은 일반적으로 "인화점"을 참조하여, 밀폐용기시험으로 60'C(이는 개방용기
시험으로 65.6'C에 해당함)이하의 온도에서 인화성 증기를 발산하는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 또는 용액이나 현탄
액 상태로 고체가 함유된 액체(예를 들면, 페인트, 바니쉬, 락카 등과 같은 것을 말하지만, 그 물질의 다른 위험
특성 때문에 다른 급에 해당되는 것은 포함하지 아니함)를 말한다. 또한 인화성 액체에는 다음의 물질도 포함된다:
1) 자신의 인화점 이상의 온도로 운송이 요청되는 액체 ; 및
2) 액체상태에서 고온(elevated temperature)으로 운송되거나 운송이 요청되는 물질로서, 최고운송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인화성 증기를 방출하는 물질.
감감화된 액체 화약류(Liquid desensitized explosives)라 함은 폭발성 물질이 물 또는 다른 액체 물질에 용해되거나 부유되어서 그 폭발특성이 억제된 균일한 액체 혼합물을 말한다. 이것에는 UN Nos. 1204, 2059, 3064 및 3343가 있다.
▣ 인화점(flashpoint)이란 액체의 증기가 공기와 섞여서 발화성 혼합기체를 형성하는 가장 낮은 액체온도를 말함. 즉, 정해진 양의 액체를 인화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용기에 주입시킨 다음 서서히 가열하여 주기적으로 액체 표면상에 작은 화염을 접근시켜서 인화(,flash),가 관측되는 가장 낮은 온도를 말함. 인화점은 밀폐용기시험방법(Closed Cup Method)으로 결정해야 함.
▣ 액체(liquid)란50 C에서300kPa(3bar) 이하의 증기압을 가지, 20 C 및 101.3kPa에서 완전히 가스상이 아니며 또한 101.3kPa에서 녹는점 또는 초기 녹는점이 20 C 이하인 위험물을 말함
▣ 제3급의 세분 : 제3급을 인화점 범위에 따라 제3.1급, 제3.2급 및 제3.3급으로 분류하던 규정은 2001년 1월 1일 발효된 제30차 IMDG Code(Amdt. 30-00)부터 세분하지 아니하고 단지 제3급으로만 분류하도록 개정됨.
3.4 제4급 (Class4) – 가연성 고체 : 자연발화성 물질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
(Flammable solids : Substances liable to spontaneous combustion : Substances which, in contact with water, emit Flammable gases)
제4급은 운송조건하에서, 쉽게 연소하는 물질 또는 화재를 일으키거나 조장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화약류로 분류되는 물질은 제외).
제4급은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
등급 | 정의 |
제4.1급 – 가연성 물질 | 조우되는 운송조건하에서, 쉽게 연소하는 고체 또는 마찰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키거나 조장할 수 있는 고체; 격렬하게 발열분해하기 쉬운 자기반응성 물질(고체 및 액체); 충분하게 희석되지 아니한 경우에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 둔감화된 고체 화약류 |
제4.2급 – 자연발화성 물질 | 조우되는 정상운송조건하에서 자연발열하기 쉽거나 또는 공기와의 접촉으로 발열하여 착화하기 쉬운 물질(고체 및 액체); |
제4.3급 –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 | 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연 인화성이 되거나 또는 위험한 양의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기 쉬운 물질(고체 및 액체) |
▣ 고체(Sloid)란 액체의 정의에 적합하지 아니한 위험물(가스는 제외)을 말함
▣ 자체반응성 물질(self-reactive substance)이란 산소(공기)와 관여되지 아니하여도 강한 발열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열적으로 불안정한 물질을 말함
▣ 감감화된 고체 화약류(solid desensitized explosives)란 자신의 폭발특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물 또는 알코올로 습윤되거나 다른 물질로 희석되어서 균질한 고체 혼합물로 형성된 폭발성 물질을 말함.
▣ 자연발화성 물질(pyrophoric substances)이란 비록 소량이라고 할지라도 공기와의 접촉으로 5분 이내에 발화하는 물질, 혼합물 및 용액(액체 도는 고체)를 말함.
▣ 자체발열성 물질(self-heating substances)이란 자연발화성 물질 이외의 물질로서, 에너지 공급 없이 공기와의 접촉으로 자체발열하기 쉬운 물질을 말함
3.5 제5급 (Class5) – 산화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Oxidizing substances & Organic peroxides)
제5급은 산화성 물질과 유기과산화물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등급 | 정의 |
제5.1급 – 산화성 물질 | 그 물질 자체가 반드시 연소하지는 아니할지라도, 일반적으로 산소 발생에 의하여 다른 물질의 연소를 유발거나 또는 연소를 돕는 물질을 말한다. 그러한 물질은 제품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
제5.2급 – 유기과산화물 | 2가의 -O-O-결합을 가지며, 하나 또는 두개 모두의 수소원자가 유기 래디칼로 치환된 과산화수소의 유도체로 간주될 수 있는 유기물질을 말한다. 유기과산화물은 온도에 불안정한 물질로서 자기가속발열분해를 일으킬수 있다. |
추가로, 유기과산화물은 다음 중 1가지 이상의 특성을 갖는다;
- 폭발적으로 분해될 수 있음;
- 급속하게 연소함;
- 충격 또는 마찰에 민감함;
- 다른 물질과 위험하게 반응함;
- 눈에 손상을 줌.
3.6 제6급 (Class6) – 독물 및 전염성 물질 (Toxic & Infectious substances)
제6급은 독물 및 전염성 물질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
등급 | 정의 |
제6.1급 - 독물 | 삼키거나 흡입하거나 또는 피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사망 또는 중상을 일으키거나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치기 쉬운 물질을 말한다. |
제6.2급 - 전염성 물질 | 병원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또는 논리적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말한다. 병원체(pathogen)라 함은 인간 또는 동물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스, 리케차, 기생충, 진균류 포함)또는 기타의 매개체(agent)(프리온과 같은 것)를 말한다 |
▣ 병원체(Pathogens)란 동물 또는 인간에게 전염성 질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거나 또는 합리적으로 추정 되는 미생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리케치아, 기생충, 진균류) 또는 재조합된 미생물(변형체 또는 돌연변이체)를 말함.
3.7 제7급 (Class7) – 방사성 물질 (Radioactive material)
제7급은 운송품내에 방사능 농도와 총방사능량 양쪽이 IMDG Code제2.7.7.2.1항 ~제2.7.7.2.6항에 명시된 값을 초과하는 방사성 핵종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을 말한다.
3.8 제8급 (Class8) – 부식성 물질 (Corrosive substances)
제8급 물질은 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체조직과의 접촉시에는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거나, 누출된 경우에는 기계적 손상 또는 다른 화물 또는 운송수단을 파손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3.9 제9급 (Class9) – 유해성 물질 (Miscellaneous Dangerous Substances & Articles)
제9급은 다음의 것을 말한다.
1) 1974년 SOLAS 제VII장 A편의 규정을 적용하여야 하는 위험특성을 경험적으로 나타내었거나 나타낼 수 있는 물질로서 다른 급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물질 및 제품
2) 1974년 SOLAS 제VII장 A편의 규정에는 따르지 아니하지만, MARPOL 73/78부속서 III의 규정이 적용되는 물질.
3) 액체상태로 100℃이상의 온도로 운송되거나 운송에 제공되는 물질 및 240℃이상의 온도로 운송되거나 운송에 제공되는 고체물질.
4) 전염성 물질의 정의에 적합하지 아니하는 유전자 변형 미생물(GMMOs) 및 유전자 변형 생물(GMOs)이지만, 통상적으로 자연적인 번식의 결과가 아닌 방법으로 개조된 동물, 식물 또는 응용 미생물학적 물질
◇ 위험물 분류표 ◇ 각 위험물질은 다음의 9개의 CLASS로 분류된다.
CLASS 1 | 화약류 (Explosives) | |
등급 1.1 | 대폭발 위험성이 있는 물질 및 제품 | |
등급 1.2 | 발사 위험성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 |
등급 1.3 | 화재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약간의 폭발 위험성 또는 약간의 발사 위험성 | |
혹은 그 양쪽 모두가 있으나, 대폭발 위험성은 없는 물질 및 제품 | ||
등급 1.4 | 중대한 위험성이 없는 물질 및 제품 | |
등급 1.5 | 대폭발 위험성이 있는 매우 둔감한 물질 | |
등급 1.6 | 대폭발 위험성이 업는 매우 둔감한 물질 | |
CLASS 2 | 고압가스류 (Gasses) | |
제2.1급 | 고압가스 중, 인화성 고압가스 | |
제2.2급 | 고압가스 중, 비인화성/비독성 고압가스 | |
제2.3급 | 고압가스 중, 독성 고압가스 | |
CLASS 3 | 인화성액체류 (Flammable Liquids) | |
CLASS 4 | 가연성물질류 (Flammable Solid, Spontaneous Conbustible & Dangerous When Wet) | |
제4.1급 | 가연성 고체 | |
제4.2급 | 자연발화성 물질 | |
제4.3급 | 물반응성 물질 (물과 접촉시 인화성 가스를 방출하는 물질) | |
CLASS 5 | 산화성 물질류 (Oxidizing Substances & Organic Peroxides) | |
제5.1급 | 산화성 물질 | |
제5.2급 | 유기과산화물 | |
CLASS 6 | 독물류 (Toxic & Infectious Substances) | |
제6.1급 | 독물 | |
제6.2급 | 병독을 옮기기 쉬운 물질 (전염성 물질) | |
CLASS 7 | 방사성 물질 (Radioactive Materials) | |
CLASS 8 | 부식성 물질 (Corrosive) | |
CLASS 9 | 유해성 물질 (Miscellaneous Dangerous Substances & Articles) |
4. 위험물의 포장등급
4.1 포장등급의 정의
포장등급(PG : Packing Group) 이란 물질 및 제품에 지정되는 위험의 정도를 말한다. 포장의 목적상 위험물은 해당 위험물이 가지는 위험도에 따라 다음의 3가지 포장등급(PG : Packing Group)중의 하나로 지정된다 ;
종류 | 구분 |
포장등급 Ⅰ (PG Ⅰ) | 대위험성이 있는 물질 |
포장등급 Ⅱ (PG Ⅱ) | 중위험성이 있는 물질 |
포장등급 Ⅲ (PG Ⅲ) | 소위험성이 있는 물질 |
포장등급은 사용 가능한 포장용기의 선택기준이 되고, 포장화물당 허용량의 기준이 되며 또한 용기시험시 성능수준의 기준이 되는 등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4.2 포장등급의 지정
개개 물질 및 제품에 대한 포장등급은 IMDG CODE의 위험물 목록(DGL)에 명시되어 있다. 단, 제1급, 제2급, 제5.2급, 제6.2급, 제7급 및 제4.1급의 자체반응성 물질에 대한 포장등급은 현재까지 포장등급을 지정할 기준이 개발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포장등급이 일정하다.
4.3 제3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3급의 인화성 액체는 자신의 인화점, 끓는점 및 점도에 따라 포장등급을 지정한다. 위험성이 단지 인화성뿐인 액체의 경우에는 다음의 표에 따라 지정한다 ;
포장등급 | 인화점 (℃, c.c) | 초기 끓는점(IBP) ( ℃) |
Ⅰ | - | ≤ 35 |
Ⅱ | < 23 | >35 |
Ⅲ | ≥ 23 - ≤ 61 | >35 |
4.4 제4.1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4.1급의 가연성 고체는 연소독시험(UN 시험 및 기준편람 제Ⅲ편, 제33.2.1항)을 기초로 하여 다음의 표에 따라 지정한다 ;
시험성적 | 포장등급 | |
금속분말 이외인 경우 | 금속(금속합금) 분말인 경우 | |
연소시간이 45초 미만이고 화염이 젖은 | 반응영역이 5분 이내에 시료 전체로 | Ⅱ |
연소시간이 45초 미만이고 화염전파가 최소한 4분 동안 젖은 부분에서 정지되는 경우 | 반응영역이 5분을 초과하고 10분 이하의 시간에 시료 전체로 확산되는 경우 | Ⅲ |
4.5 제4.2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4.2급의 모든 자연발화성의 고체 및 액체물질은 포장등급 Ⅰ로 지정하며, 기 이외는 UN 시험 및 기준편람 제Ⅲ편, 제33.3.1.4항, 제33.3.1.5항 및 제33.3.1.6항을 기초로 하여 포장등급 Ⅱ또는 Ⅲ중의 하나로 지정한다.
4.6 제4.3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4.3급의 물반응성 물질은 물반응성 시험을 기초로 하여 다음의 표에 따라 지정한다.
시험성적 | 포장등급 |
발생가스가 발화하는 것 또는 인화성 가스의 발생비가 물질 1kg에 대하여 | Ⅰ |
인화성 가스의 최대 발생비가 물질 1kg에 대하여 1시간당 20리터 이상인 것. | Ⅱ |
인화성 가스의 최대 발생비가 물질 1kg에 대하여 1시간당 1리터 이상인 것. | Ⅲ |
4.7 제5.1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5.1급은 UN 시험 및 기준편람 제Ⅲ편, 제34.4.1항(고체인 경우) 및 제34.4.2항(액체인 경우)을 기초로 하여 포장등급 Ⅰ, Ⅱ 또는 Ⅲ중 하나로 지정한다.
4.8 제6.1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6.1급은 3가지의 감염경로에 의하여 나타난 다음의 독성치를 기준으로 지정한다.
포장등급 |
| 경구독성 | 경피독성 | 분진 및 분무에 의한 흡입독성 |
Ⅰ |
| ≤ 5 | ≤ 40 | ≤ 0.5 |
Ⅱ |
| > 5 - 50 | > 40 - 200 | > 0.5 -2 |
Ⅲ | 고체 | > 50 - 200 | > 200 - 1,000 | > 2 - 10 |
액체 | > 50 - 500 | > 200 - 1,000 | > 2 - 10 |
▣ 급성 경구독성의 반수치사농도(LD50 for acute oral toxicity)란 성숙한 백변종 쥐(rat)의 암수 절반씩에게 투여하여 그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물질의 복용량을 말함. 그 결과는 kg의 몸무게당 mg으로 표시 함.
▣ 급성 경피독성의 반수치사농도(LD50 for acute oral toxicity)란 백변종 토끼(rabit)의 노출된 피부에 24시간동안 계속적으로 접촉 투여하여 시험한 동물의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물질의 복용량을 말함.그 결과는 kg의 몸무게당 mg으로 표시.
▣ 급성 흡입독성의 반수치사농도(LD50 for acute oral toxicity on inhalation)란 성숙한 백변종 쥐(rat)의 암수 절반씩에게 1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흡입 투여하여 시험한 동물의 절반을 14일 이내에 죽게 하는 증기, 분진 또는 분무의 농도를 말함. 그 결과는 분진과 분무에 대하여는 공기 1리터당 mg으로, 증기에 대하여는 공기 1㎡당 ㎖(ppm)로 표시함.
4.9 제8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 제8급은 다음의 시험성적에 따라 지정한다.
시험성적 | 포장등급 |
피부에 3분 이하의 노출로 60분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질 | Ⅰ |
피부에 3분 초과 60분 이하의 노출로 14일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질 | Ⅱ |
피부에 60분 초과 4시간 이하의 노출로 14일 이내에 괴사가 관찰되는 물질 또는 | Ⅲ |
4.10 제9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제9급의 포장등급 기준은 아직 개발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유사한 성질을 가진 다른 화물과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지정한다.
4.11 기타 등급의 포장등급 지정기준
▣ 제4.1급의 자체반응성 물질 및 제5.2급에는 포장등급 Ⅱ로 일정하게 지정한다.
▣ 제6.2급에는 포장등급이 없으며,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위험등급(risk group)이 있다.
기준 | 위험등급 |
개인 및 집단에 대한 위험이 높은 것 | 4 |
개인에 대한 위험은 높고, 집단에 대한 위험은 낮은 것 | 3 |
개인에 대한 위험은 보통이고, 집단에 대한 위험은 낮은 것 | 2 |
개인 및 집단에 대한 위험이 없거나 매우 낮은 것, IMDG CODE의 목적상 | 1 |
5. 적정선적명 및 유엔번호
5.1 위험물의 확인 (Identification)
위험물을 해상 운송할 때에는 모든 관련 종사자들로 하여금 필요한 주의 및 사고예방조치를 강구할 수 있도록, 그리고 사고 발생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그 위험물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위험물을 확인시키는 방법으로는 위험물 선적서류를 작성하는 것 이외에, 위험물이 충전된 포장화물에 위험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적정선적명 및 유엔번호를 기재하고, 해당 위험물의 표찰, 표시 및 표식을 부착하며, 해양오염물질인
경우에는 해양오염물질표시를 행하는 것 등이 있다.
5.2 적정선적명(PSN : Proper Shipping Name)
적정선적명은 물질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등재부분으로서 IMDG Code의 위험물 목록(DGL)상에 대문자로 표기된
부분을 말한다. 숫자, 그리스 문자, "sec", "tert" 및 m, n, o, p의 문자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대체 적정선적명은 주된 적정선적명 뒤의 괄호 안에 수록되어 있다. 소문자로 표기된 등재부분은 적정선적명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간주할 필요는 없지만 사용할 수는 있다.
IMDG Code의 Index의 해당 위험물 뒤에 “see"라는 단어가 있는 경우, 이것은 적정선적명의 동의어이며, 단지 참고용으로만 수록되어 있다.
Substance | MP | Class | UN No. |
|
TARS | ● | 3 | 1999 | 적정선적명을 나타냄 |
Bitumen, see | ● | 3 | 1999 | 적정선적명 "TARS"의 동의어를 나타냄 |
FURAN | - | 3 | 2389 | 적정선적명을 나타냄 |
Furfuran, see | - | 3 | 2389 | 적정선적명 "FURAN"의 동의어를 나타냄 |
적정선적명은 단수 또는 복수 중 적절한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1급 물질에 대하여는 공업용 명칭 또는
군용명칭을 추가 설명문으로 보충한 적정선적명을 사용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라는 물성을 나타내는 단어가 적정선적명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LIQUID" 또는 "SOLID"라는 단어를 적정선적명에 추가하여야 한다.
"용융상"이라는 물성을 나타내는 단어가 적정선적명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는 경우, 고체인 물질이 용융상태로 운송이 요청된다면 "MOLTEN" 이라는 단어를 적정선적명에 추가하여야 한다.
수화물(hydrates)은 무수물(anhydrous substance)에 대한 적정선적명 하에 포함시킬 수 있다.
모든 위험물의 명칭을 IMDG Code에 수록한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IMDG Code의 위험물 목록(DGL)에 수록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위험물의 분류기준에 적합한 물질은 N.O.S. 등재명으로 하여야 한다. IMDG Code의 DGL에 수록된 하기의 4가지 형태의 등재명중 ②번 등재명으로 지정할 수 없으면 ③번 등재명으로, ②번과 ③번 등재명으로 지정할 수 없으면 ④번 등재명으로 지정한다.
형태 | UN No. | 적정선적명 |
①단일 등재명(Single Entry) | 1090 | ACETONE |
1194 | ETHYL NITRITE, SOLUTION | |
②총칭 등재명(Generic Entry) | 1133 | ADHESIVES |
1266 | PERFUMERY PRODUCTS | |
2757 | CARBAMATE PESTICIDE, SOLID, TOXIC | |
3101 | ORGANIC PEROXIDE TYPE B, LIQUID | |
③특정 N.O.S. 등재명(Specific N.O.S. Entry) | 1477 | NITRATES, INORGANIC, N.O.S. |
1987 | ALCOHOLS, N.O.S. | |
④일반 N.O.S. 등재명(General N.O.S. Entry) | 1325 | FLAMMABLE SOLID, ORGANIC, N.O.S. |
1993 | FLAMMABLE LIQUID, N.O.S. |
5.3 유엔번호(UN No. : United Nations Number)
유엔번호는 위험물운송전문가위원회가 위험물에 부여한 고유번호이다. IMDG Code의 개개 위험물 등재명에는 유엔번호가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품목에 대하여는 동일 적정선적명이라 하더라도 물질의 성상이나 농도에 따라 유엔번호가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적정선적명 | 유엔번호 |
SODIUM HYDROXIDE, SOLID | 1823 |
SODIUM HYDROXIDE SOLUTION | 1824 |
SULPHURIC ACID, with more than 51% acid | 1830 |
SULPHURIC ACID, with not more than 51% acid | 2796 |
6. 포장화물의 표시 및 표찰
위험물이 충전된 포장화물에는 운송 중에 해당 물질을 용이하게 확인시키기 위하여 표시 및 표찰을 행하여야 한다. 또한 포장화물의 취급 또는 저장시의 주의사항을 나타내는 추가의 표시 또는 기호(예를들면 포장화물이 건조 유지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우산 같은 그림)도 포장화물상에 표시할 수 있다.
6.1 표시(Marking)
IMDG Code에 별도의 명문규정이 없는 한, 위험물이 충전된 모든 포장화물에는 해당 위험물의 적정선적명과 이에 상응하는 유엔번호를 “UN”이라는 문자 뒤에 표시하여야 한다. 즉 ;
CORROSIVE LIQUID, ACIDIC, ORGANIC, N,O.S. (caprylyl chloride), UN 3265
포장화물의 표시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야 한다 :
1) 쉽게 볼 수 있고 읽기 쉬울 것 ;
2) 외기에 의하여 본래 모양이 변형되지 아니할 것 ;
3) 포장화물의 외부 표면과 대조되는 색깔일 것
4) 포장화물이 3개월 동안 해수에 잠겨 있어도 포장화물상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있을 것. 적절한 표시방법을 고려할 때에는 사용된 포장재의 내구성과 포장화물의 표면에 주의할 것 ;
5) 그 표시의 유효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기타의 다른 표시와 함께 위치시키지 말 것 ;
6) 회수용기에는 “SALVAGE”라는 단어를 추가하여 표시할 것 ; 및
7) 용량이 450리터 이상인 중형산적용기(IBCs)에는 서로 반대되는 2곳에 표시할 것.
6.2 표찰(Labelling)
IMDG Code에 별도의 명문규정이 없는 한, 위험물이 충전된 모든 포장화물에는 그 화물의 위험성이 확실히 나타나도록 표찰을 내구성 있게 부착하여야 한다. 위험물이 2가지 이상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경우에 이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표찰도 함께 부착하여야 한다.
구분 | 설명 |
정표찰 | 해당 위험물의 주위험성을 나타내는 표찰 |
부표찰 | 해당 위험물이 2가지 이상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부위험성(2차, 3차 위험성)을 나타내는 표찰 |
▣ 2001년 1월 1일 발효된 제30차 IMDG Code에 따라 부표찰에도 그 하단에 급 번호가 있어야 함.
포장화물의 표찰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야 한다 :
1) 표찰은 색깔, 상징그림, 숫자 및 일반적인 형태가 IMDG Code에 명시된 견본표찰과 완전히 일치할 것 ;
2) 제2급용의 가스실린더용 표찰은 실린더의 모양, 운송방향 및 운송용 고박장치등을 고려하여 실린더의 원통부분이 아닌 곳(어깨부분)에 부착하기 위하여 견본 표찰보다 축소된 표찰을 부착할 수 있음 ;
3) 포장화물의 크기가 적절하다면 적정선적명 표시 바로 근처의 동일한 표면에 위치할 것 ;
4) 포장화물의 부속품에 가려지거나 구석진 곳이 아닌 곳에 부착할 것 ;
5) 정표찰과 부표찰을 동시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정(부)표찰 바로 옆에 부(정)표찰을 부착할 것 ;
6) 포장화물의 모양이 불규칙하거나 크기가 작아서 만족스럽게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단하게 고정된 꼬리표(tag) 또는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할 것 ;
7) 용량이 450리터 이상인 중형산적용기(IBCs)에는 서로 반대되는 2곳에 부착할 것 ; 및
8) 포장화물 표면의 색깔이 표찰의 색깔과 서로 대조되는 곳에 부착할 것.
6.3 해양오염물질 표시(Marine Pollutant Mark)
해양오염물질이 충전된 포장화물에는 해양오염물질 표시를 위험물 표찰 근체에 내구성 있게 표시하여야 한다. 이 표시는 포장용기와 대조되는 색깔로 하거나, 스티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흑백 색깔이어야 한다.
개정 전 라벨 예 | 개정 후 라벨 예 |
![]() | ![]() |
6.4 단위적재물의 표시 및 표찰
단위적재물인 경우에는 그 외면에 표찰을 부착하여야 하며, 해당 시에는 표시 또는 표식을 부착하여야 한다. 단, 포장화물에 부착된 표찰 또는 표시가 그 단위물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단위적재물(Unit Load)이라 함은 포장화물이 ①팔레트(pallet)와 같은 적재판에 올려놓거나 쌓은 상태에서 연신포장, 수축포장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으로 고박된 상태 ②팔레트상자와 같은 보호용 외장 폐위물내에 수납된 상태 ③슬링(sling)으로 한꺼번에 영구적으로 고박된 상태를 말함.
6.5 세정되지 아니한 빈 용기의 표시 및 표찰
제7급 물질을 제외하고, 이전에 위험물을 수납하였던 포장용기에는 그 위험물에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확인, 표시, 표찰이 있어야 한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1) 모든 위험성이 없어지도록 위험물의 잔류물을 충분하게 세정하고 증기를 배출시킨 경우 ; 및
2) 비위험물질이 주입된 경우.
표찰, 표시 및 표식의 견본
7. 화물운송단위물의 명찰,, 표시 및 표식
화물운송단위물에는 그 단위물 내부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위험물이며 또한 위험이 존재한다는 경고를 주기 위하여 그 외면에 확대된 표찰(명찰)과 표시 및 표식을 부착하여야 한다.
▣ 화물운송단위물(CTU’s ; Cargo Transport Units)이란 ①화물 컨테이너 ②이동식 탱크 ③도로용 화물차 ④도로용 탱크차 ⑤철도용 화물차 ⑥철도용 탱크차를 말함.
7.1 명찰(Placarding)
위험물 또는 위험물의 잔류물이 수납된 화물운송단위물에는 명찰을 다음과 같이 명확하게 부착하여야 한다 :
1) 화물운송단위물, 세미트레일러 또는 이동식 탱크 : 양 측면에 1개씩 및 전 후단에 1개씩(4면) ;
2) 철도용 화물차 : 적어도 양 측면에 1개씩(2면) ;
3) 다중구획탱크 : 관련 구획실마다 양 측면에 1개씩(2면) ;
4) 기타의 화물운송단위물 : 적어도 단위물의 양 측면에 1개씩(2면).
명찰은 부위험성이 있는 물질에도 부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부위험성이 정위험성 명찰에 의하여 이미 나타난 경우에는 부착할 필요가 없다.
7.2 적정선적명의 표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내용물의 적정선적명을 최소한 양 측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
1) 이동식 탱크인 경우 ;
2) 산적용기인 경우 ; 및
3) 명찰, 유엔번호 또는 해양오염물질 표시가 요구되지 아니하는 단일품목의 포장된 위험물이 수납된 기타의 화물운송단위물인 경우.
7.3 유엔번호의 표시
화물운송단위물에는 내용물의 유엔번호를 ①급 명찰 하반부의 흰색바탕에 높이 65cm 이상인 검정색 숫자로
표시하거나, ②또는 세로 120mm,가로 300mm 이상, 폭 10mm의 검정색 윤곽선을 같는 오렌지색직사각형판 (유엔번호표) 높이 65mm 이상인 검정색 숫자로 표시하여 급 명찰 바로 근처에 위치시켜야 한다.
제1급을 제외하고 다음과 같은 운송품에는 유엔번호를 부착하여야 한다 :
1) 이동식 탱크인 경우 ;
2) 산적용기인 경우 ;
3) 총질량(Gross Weight)이 4,000kg을 초과하고, 단일 유엔번호로만 지정되었으며, 또한 화물운송단위물에 위험물만이 수납된 경우 ;
4) 다중구획탱크인 경우.
유엔번호는 다음의 2가지 방법 중의 하나에 의한다.
7.4 해양오염물질 표시의 부착
해양오염물질이 수납된 화물운송단위물에는 해양오염물질표시를 각 측면과 전 후단에 한 개씩(4면) 내구성 있게 부착하여야 한다.

7.5 고온주의 표시의 부착
100℃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운송되는 물질 또는 240℃ 이상의 온도에서 운송되는 고체물질을 수납한 화물운송단위물에는 고온주의 표시를 각 측면과 전 후단에 한 개씩(4면) 내구성 있게 부착하여야 한다.

7.6 훈증소독주의표식의 부착
소독을 실시한 화물을 수납한 밀폐형 화물운송단위물에는 그 단위물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는 사람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훈증소독주의표식을 명확하게 부착하여야 한다.

7.7 표찰, 명찰, 표시 및 표식의 사양
종류 | 사양 |
표찰(Label) | ◎ 각 변은 100mm 이상인 마름모형일 것 |
◎ 견본 표찰과 일치하여야 함. | |
명찰(Placard) | ◎ 각 변이 250mm 이상인 마름모형일 것 |
◎ 하반부의 극 번호의 숫자 높이는 25mm 이상일 것 | |
◎ 색깔 및 부호는 표찰과 동일할 것 | |
해양오염물질표시 | ◎ 포장화물용 - 각 변이 100mm 이상인 삼각형일 것 |
◎ 화물운송단위물용 - 측면이 250mm 이상인 삼각형일 것 | |
◎ 포장용기와 대조되는 색깔일 것 | |
◎ 스티커를 사용하는 경우 흑백색깔일 것 | |
고운주의표시 | ◎ 각 변이 250mm 이상인 삼각형일 것 |
◎ 표시의 붉은 색이 나타날 것 | |
훈증소독경고표식 | ◎ 폭 300mm, 높이 250mm 이상의 직사각형일 것◎ |
◎ 흰 바탕에 검은 색으로 인쇄할 것 | |
◎ 글씨의 높이는 25mm 이상일 것 |
- Tagged :
- GHS
2013.07.19 at 11:21:00 댓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